계량경제학(32)
-
시계열(Time series) > Forecasting
지금까지 다루어 왔던 ARIMA, ARIMAX, SARIMA, SARIMAX를 활용하여, 예측 문제를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RIMAX와 SARIMAX를 추정하기 위해선, Univariate 시계열 데이터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Exogenous 변수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기존의 S&P 500 index와 더불어 Nikkei index를 활용하고자 합니다.(이전 포스팅에서와 동일하게 yahoo finance- historical data에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최종적으로는, Nikkei index의 return을 예측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먼저 필요한 Module을 import하고, 함수를 정의하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impor..
2021.01.02 -
시계열(Time series) > ARIMAX, SARIMA, SARIMAX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금까지 정리했던 내용과 더불어 ARIMAX, SARIMA, SARIMAX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문제를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측에 앞서 먼저 ARIMAX, SARIMA, SRIMAX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RIMAX(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Exogenous Model)] ARIMAX는 일종의 회귀모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AR모형과 MA모형을 동시에 포함되게 됩니다. 일반적인 AR이나 MA모형은 Univariate(단변량) 시계열을 표현하는데 적절한 모형이지만 ARIMAX모형은 추가적인 Explanatory variable을 활요함으로써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기에 적절한 모형입니다. ARIMAX..
2021.01.01 -
시계열(Time series) > Diagnosing Models(ARMA, ARIMA)(2/2)
이전 포스팅(direction-f.tistory.com/68)에 이어서, 시계열 모형을 결정하기 위한 Process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원본 시계열 데이터의 비정상성을 차분을 통해서 정상성을 가진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했으며, ACF&PACF 그래프를 활용하여, 대략적으로 모형의 차수를 결정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형을 추정하고, 진단을 통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타당한 모형을 구축해보겠습니다. [Estimation/Diagnosis] 먼저 일차적으로 차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ARMA(1,1)과 ARMA(5,5)를 Fitting 해보겠습니다. LLR Test 결과를 보면 ARMA(5,5)일 때 Likelihood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model_re..
2020.12.27 -
시계열(Time series) > Diagnosing Models(ARMA, ARIMA)(1/2)
지난 포스팅(https://direction-f.tistory.com/67)에서 AR(1)모델을 우리는 MA(∞)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MA(1)모형을 AR(∞)로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가역성 특징을 활용하여 어떤 시계열 모형울 수립할때, AR모형과 MA모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ARMA모형은 AR모형과 MA모형을 섞어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ARIMA 모형은 ARMA모형과 모양은 거의 유사하지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서 차분(differencing)을 하느냐 입니다. ARMA모형은 정상성을 가진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계열 데이터가 정상성을 가지지 않는다면 차분을 통해 정상 시계열 데이터로 만..
2020.12.27 -
시계열(Time series) > Moving average model(이동평균모형)
Moving average(MA) 모형은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AR 모형과 함께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모형을 수립하는데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모형입니다. AR 모형은 과거의 값을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데 반해, MA 모형은 과거의 예측 오차를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데 활용합니다. 가장 기본적은 MA(1) 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AR 모형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MA(q) 모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MA 모형도 AR 모형과 마찬가지로 계수 \theta가 -1과 1사이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정상성을 가지는 어떤 AR(1)모델을 우리는 MA(∞)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MA(1)모형을 AR(∞)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역성(Invertibility)라고 표현합니다. 즉 AR모형을 과거의..
2020.12.23 -
시계열(Time series) > Autoregressive model(자기회귀모형)
Autoregrssive model(AR model)은 예측하는 문제에 있어 정말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모형입니다. 해당 모형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time t에 일어난 일을 예측하는데 제일 좋은 Predictor는 t-1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1차 AR model은 아래와 같습니다. 좀 더 고차수를 가지는 AR model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Backshift operator를 활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와 같이 차수 p를 가진 모형을 일반적으로 AR(p) 모형이라고 부릅니다. 전통적인 Regression과 유사하게 생겼지만, 계수 $\phi$가 -1과 1사이의 값을 가진다는 추가적인 제약조건이 필요합니다. Python을 활용하여 AR model을 추정해보겠습니다..
2020.12.21